주한미군 사령관 기고문의 진짜 의미
주한미군 웹사이트에 사령관 명의로 쓴 글이 ‘보도자료’로 배포되는 일은 극히 드물다.
그런데 그 일이 실제로 일어났다고 하니 아니 읽어볼 수가 있나. (집에서 이상하게 DNS 주소를 찾을 수 없다며 접속이 안 되길래 좀 살펴보니 ISP에서 주한미군 웹사이트를 유해사이트로 분류하고 있는 것 같다. 이게 LG유플러스야 차이나텔레콤이야…)
읽어보고 든 생각은 그랬다: 아, 정말 트럼프 행정부(혹은 펜타곤) 내에서 주한미군의 역할에 대한 (십중팔구 부정적인) 논의가 계속 나오기는 하는가 보구나. 이렇게 간절하게 주한미군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걸 보니…
그런데 한국 언론의 해석이 너무 달라서 좀 놀랐다. 한겨레 사설은 그 중에서도 가장 극단적이었는데 한국이 “사실상 미국의 패권 유지를 위한 ‘전초기지’가 될 것을 요구했다”는 것이다.
다시 읽어봤지만 이건 아무리 봐도 주한미군에 대해 부정적인 워싱턴의 누군가를 설득하기 위해 쓴 것이다. 그런 의도가 다분히 읽히는 대목만 추려봤다:
By rotating our standard north-up orientation to place east at the top, a transformed strategic landscape emerges–one that reveals previously hidden geographic relationships and illuminates why current force positioning may be more advantageous than traditionally understood.
Forces already positioned on the Korean Peninsula are revealed not as distant assets requiring reinforcement, but as troops already positioned inside the bubble perimeter that the U.S. would need to penetrate in the event of crisis or contingency.
From Beijing, American forces at installations like Osan Air Base appear not as distant threats requiring complex power projection, but as immediately proximate capabilities positioned to achieve effects in or around China.
Military planners frequently refer to the “tyranny of distance” as a constraint on Indo-Pacific operations. While distance remains a critical factor, east-up mapping reveals that current positioning may offer advantages that traditional perspectives obscure. The scale of the Pacific creates operational challenges, but it also creates opportunities for those already positioned within the theater.
rather than focusing solely on the challenges of power projection across the vast distances of the Pacific, planners should recognize that strategic positioning already achieved can transform distance from obstacle to advantage.
Distance remains a constraint, but proper positioning can transform it from an insurmountable obstacle into a manageable challenge.
[…] existing force positioning, particularly on the Korean Peninsula, may offer greater strategic advantages than currently recognized. Rather than viewing these deployments as vulnerable forward positions requiring reinforcement, planners might consider them as advantageously positioned assets already inside the defensive perimeter […]
What appears disadvantageous from one perspective may reveal significant advantages when viewed differently.
The east-up map is one such change, transforming distant challenges into proximate advantages […]
(체리피킹했다기엔 그런 대목이… 너무 많지 않습니까?)
주한미군에 대한 근래의 맥락을 살펴보면 왜 브런슨 사령관이 이런 글을 썼는지 좀 더 잘 이해할 수 있다. 주일미군의 지위 변화 때문이다.
바이든 행정부 시절부터 워싱턴은 현재 3성 장군인 주일미군 사령관 직위를 4성 장군으로 상향 조정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었고, 행정 기능 중심이던 주일미군 사령부를 합동사령부joint forces command로 업그레이드를 추진했다. 이는 트럼프 2기 들어서도 계속되고 있다.
주일미군의 지위가 올라가면 주한미군의 지위에 변화가 있지 않겠느냐는 우려는 지난 8월 국내 언론에서도 자주 제기됐던 것이다.
주한미군 사령관이 뭣하러 (권한도 없는) 미국의 한반도 전략을 직접 보도자료까지 내면서 천명하겠는가. 그렇게 이해하기 어렵지 않은 글에 대해서도 엉뚱한 해석이 난무하는 걸 보니 정말 ‘한반도 천동설’은 실재한다는 걸 절감했다.